[경인신문=최철호 기자]정부가 오는 2047년까지 622조원을 투입해 경기 남부 지역에 조성될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를 민관 합동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보다 구체적인 복안을 내놓았다.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란  용인·수원·화성·이천·평택 등에 밀집한 반도체 기업과 기관을 한데 아우르는 개념을 뜻한다.

지난해 삼성전자가 500조원, SK하이닉스가 122조원을 투자해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얼마전에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인프라·투자환경, 생태계, 초격차 기술, 인재 등 4대 중점 과제를 중심으로 2나노(㎚) 이하 기반 팹리스·파운드리 등 시스템반도체 전 생태계가 집적된 최첨단 시스템 반도체 허브 조성 계획을 말했다. 이를 통해 향후 20여년간 생산유발 효과 650조원, 346만개의 직간접적인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한다. 

전력·용수 등 핵심 인프라를 적기 공급하고, ‘국가 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을 통해 송전선로 건설 기간을 30% 이상 단축하겠다고 했다. 특히 현재 22개인 반도체 세액공제 대상 기술(국가전략기술)을 늘리는 등 투자 인센티브를 확대한다는 것도 주목된다.

세계 최대·최고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합심해 발 벗고 나선다는 것은 좋은 소식이다.

하지만 중요한것은 '속도전'이다. 일본이나 대만 등 경쟁국에 비해 반도체산업 투자 이행은 더딘 편이다.

SK하이닉스는 용수 문제 등 여러 이유로 착공을 못하고 있다. 이러는 사이 경쟁국들의 합종연횡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우리도 조금 더 속도를 낼 필요성이 있다.

문제는 세계 반도체 주도권 확보를 위해선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 갈 인재 육성이다. 

정부는 학사급 실무 인재를 약 3만명, 석박사급 고급 인재를 약 3700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계획에는 반도체 특성화 대학을 8개에서 18개로 2배 이상 확대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그러나 장학금 지급과 취업 보장 등의 특전에도 불구하고 명문대 반도체 관련 학과 학생들이 의대로 빠져나가고 있는 실정인 의대 쏠림 현상을 극복할만한 매력적인 방안 제시가 안되고 있다. 

첨단산업 육성은 기술과 인프라도 중요하지만 인력이 제대로 뒷받침 되지 않으면 세계 반도체 주도권 확보는 쉽지않다. 획기적이고 실현 가능한 반도체 전문 인력 육성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