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기자 김진수

▲경인신문  김진수기자   ⓒnews24

 [뉴스24 = 김진수 기자] 먹고 싶은 음식을 언제 어디서든 배달시켜 먹을 수 있는 세상이 됐지만, 그만큼 배달 오토바이 사고도 많아졌다. 시간이 결국 돈이다 보니 배달 오토바이의 난폭운전은 도를 넘고 있는데 내버려두는 배달대행업체들도 문제다.

엔진 이륜차는 소형 승용차에 비해 미세먼지 주요 오염원인 질소산화물(NOx)을 약 6배 이상 배출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하지만 공기 질이나 소음과 같은 환경 문제 못지않게 업계가 머리를 맞대 서둘러 풀어야 할 선결 과제가 있다. 바로 안전이다.

배달 속도 경쟁에 일부 라이더들의 안전 의식 부재까지 겹치면서, 배달 오토바이는 어느새 도로위의 무법자가 됐다. 중앙선을 지그재그로 넘나들고, 아예 무시한 채 골목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다. 버스가 마주 오는데도 도로를 거꾸로 달리기도 하며, 인도주행은 범칙금 대상이지만 아랑곳하지 않는다.

좁은 골목길과 도로 한 폭 판을 곡예 운전 하 듯 빠져나가는 배달 오토바이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존재지만 시민들이나 운전자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릴지언정 의례 그러려니 하고 있다.

배달 기사들의 수입은 건당 1000원~3000원 수준이다. 배달 횟수가 생계로 이어지는 탓에 계속되는 지적에도 곡예주행은 이어지고 있다. 수수료를 챙기는 배달 대행업체들도 대책은 안전교육뿐, 그마저도 요식행위에 그치고 있다. 먹고 살기 바쁘다며 불참하는 기사들이 많기 때문이다.

실제 이륜차 교통사고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08년 1만여 건이던 이륜차 교통사고는 2017년 1만4,000여건으로 증가했다. 이 중 정확한 배달용 오토바이 비중을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배달 어플리케이션의 인기가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다.

배달 전용 어플리케이션 이용 시 일회용품 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고급기능까지 마련됐지만, 안전 문제에 관해서는 정부나 지자체, 업체 어디에서도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라이더의 안전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교육 수준에 그치고 있다.

더구나 과학기술 정보통신부가 지난 9일 ICT 규제 샌드박스 심의 위원회를 열어 배달 오토바이의 디지털광고를 허용했다. 비록 시범 운영이지만 광고는 배달통 4면 모두 허용하되 후면의 경우, 교통안전과 빛 공해를 고려해 이동 중에는 금지하도록 했다.

이러다 보니 추후 발생되는 광고수입을 고려해 배달업계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어서 배달 오토바이로 인한 환경오염과 사고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오토바이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거나, 라이더들의 자격을 강화하는 등 대책은 얼마든지 있다. 하루 빨리 라이더와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경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