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신문=김중택 기자]대선이 끝나자마자 지방선거 열기가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예비후보 등록을 마치고 선거사무소 개소식이 여기저기서 한창이다.

각 지역마다 자천타천 후보들의 이름이 넘쳐나고 저마다 공천을 장담하며 구석구석을 누비고 있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경기도의 경우 도지사는 물론 31개 시장, 군수 중 29명의 시장, 군수를 민주당이 휩쓸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128개 경기도의원 선거구에서 127명의 도의원을 싹쓸이했다.
그러니 이번 지방선거는 그 양상이 사뭇 다르다.

0.74%로 갈린 대선 결과가 말해주듯 여당의 프레임이 사라지게 된 것이다. 각 정당이 긴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경기도가 이번 6월 지방선거에서 최대 전략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던 이재명 전도지사의 사퇴로 기득권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지난 대선에서 서울과 달리 5%를 이재명 후보가 앞섰다. 그러나 대선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어 국민의힘도 해볼만 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윤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후 한달도 채 안되어 실시되는 지방선거이니 여당 프레임을 무시할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다. 시장, 군수 역시 일부 지역을 빼고는 승리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듯하다.

언론에 보도되는 여론조사 결과 역시 지난 2018년 지방선거와는 확연히 다른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누구도 완승을 장담할 수 없는 이유다. 지난 대선은 정권 유지냐 정권 교체냐를 두고 벌어진 선거였다.

그 결과 0.74%p 미세한 차이로 운명이 갈라졌다. 그러나 정당 입장에서는 정치적 무승부였다.

진짜 승부는 차기 선거로 미루어 졌고, 그 첫 승부가 6월 지방선거로 이어지는 것이다.

대선 무승부를 국민의 정치혁신 명령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대선 표심은 더 나은 후보와 정당을 찾지 못한 유권자들의 좌절이다.

어느쪽이던 혁신과 변화의 의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면 부동층과 20대 남녀들은 쌍수를 들며 지지의 균형을 깰 것이다.

지방선거는 여, 야에게 지지의 균형을 깰 수 있는 유일한 관문이다. 그것이 6월 지방선거의 핵심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과거와 다른 관점으로 치뤄져야 한다.

지난 날과 같은 퇴행적인 정치관행으로는 좋은 결과를 결코 담보할 수 없다.
절대적 정치 환경에서 내로남불이거나 정치적 기득권 유지가 목적인 사람은 유권자의 선택을 받지 못할 것이다. 흘러간 물은 물레방아를 돌릴 수 없다.

은수미 성남시장이 이번 지방선거에 불출마 선언을 했다. 주변 관리를 잘 하지 못해 구설수에 오르고 재판을 받는 것은 죄송한 일이고, 몰랐다는 사실도 송구 할 따름이라며 불출마 선언을 한 것이다. 당연한 일이다. 성남과 전혀 연고가 없는 사람을 전략공천한 것부터가 화근이었다.
임기 내내 구설수에 오르고 지금도 재판중이다.

풀뿌리 민주주의의 꽃은 지방선거다. 지역에서 태어나 성장하면서 지역을 위해 헌신, 봉사해 온 사람들이 선거를 통해 자치단체장과 지방 의원으로 일하게 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중앙정치권에서도 아무런 지역, 연고도 없는 사람을 전략 공천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지역의 특수성과 지역 여론을 몰라 시행착오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경기도지사 선거를 두고, 민주당의 김동연 전 부총리와 국민의힘에서 유승민이 거론되자 지역에서 반발하고 나섰다. 이번 선거를 새롭게 정의하고 혁신을 감당할 실력있는 후보를 먼저 내세워야 한다. 전략 공천은 어불성설이고 도민 참여 경선은 필수적인 요소일 것이다.

시장, 군수 선거 역시 마찬가지다. 오랫동안 지역에서 지역발전과 주민을 위해 봉사하는 사람을 경선을 통해 공천해야 한다. 지역과 인연이 없는 사람을 차출하는 것은 지역주민을 무시하는 일이고, 결코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할 것이다.

특히, 경기도와 수원 특례시, 성남시 여, 야 도지사, 시장 후보군의 면면을 살펴보면 지역에서 오랫동안 뿌리내려 봉사해 온 후보들이 눈에 많이 띈다.

낙하산식공천을 주민들이 반기지 않는 것은 당연한일이다. 전략 공천은 주민들로부터 환영하지 못하는 필패의 길이다.

차출은 중앙의 뜻이고 경선은 국민의 뜻이다. 당연히 국민의 뜻을 따르는 것이 순리다.
이번 지방선거가 국민들로부터 박수받는 축제가 되어야 한다.

중앙정치도 살고, 지방이 사는 길이다. 지방자치시대에 걸맞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꽃이 활짝 피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저작권자 © 경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