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미천환경실천연합 임충빈

▲청미천환경실천연합 임충빈      ⓒ뉴스24
가뭄이 반복·장기화돼 고통은 많고 피해가 늘어 안성은 농작물 고사가 극심한데도 정치 현안에 가려져 한해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지구온난화로 거듭되는 가뭄으로 수원(水源)이 말라 하천은 건천화(乾川化)돼 농·공업용수도 부족하고 양수할 지하수마저 고갈되고 있어 제때 모내기 모종과 파종을 못해 한숨뿐인 농심(農心)이다.

소하천 하상(河床)을 정비하고 크고 작은 저수지와 보(洑)에 많은 물을 가둬 두면 지하수위(水位)와 저류공간도 높아지고 복류수(伏流水)가 많아 가뭄이 덜 들고 한해를 극복할 수 있다. 지류지천엔 맑고 깨끗한 물이 많이 흘러야 수생태계가 살고 습도가 유지돼 농작물도 잘 자라 좋은 환경이 유지된다.

장마철에 넘쳐나는 빗물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흘려보내 물 부족을 해마다 겪고 있는 것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좁은 국토에 인구는 많아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해 물 부족에 허덕이는데 이 귀한 물을 유지 관리하는 노력과 물의 귀중함을 알고 물을 물 쓰듯 하지 말아야 한다.

생활수준 향상과 산업시설 증가로 물 사용량은 늘어만 가는데 환경론자의 반대와 지역이기주의로 저수시설 확보가 주춤했고 4대강사업으로 애먼 곳에도 하천정비나 물 관리 사업이 중단돼 안성은 그 피해가 크다.

4대강 주변은 이태의 극심한 가뭄에도 어려움 없이 넘긴 건 치수와 보의 덕택으로 저수량이 많아 지하수위가 높아져 양수할 물이 많아서라고 한다.

녹조현상은 고인 물에서도 일어나지만, 유입되는 물이 깨끗하지 못해(비점오염원) 일어나는 것이므로 철저히 관리하면 소양강 댐처럼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다고 한다.

좁은 국토에 물이 남아도는 곳의 물을 모자라는 지역으로 갖다 쓸 수는 없을까? 물값이 워낙 싸서 안 된다. 배(물 값)보다 배꼽(운반비)이 커 경제성이 없다. 한마디로 물은 유역(流域)안에 해결할 수밖에 없다.

반복되는 가뭄을 보면, 근본적 해결을 위해 대안을 만들 때다. 매년 한해를 겪느냐 아니면 준비해야 하느냐의 양단간에 합의, 결론을 내야 살 수 있다.

도농복합도시에서 영농을 할 수 없고 생산기반이 취약해지고 소득이 적어 살 수 없다면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해야 할까?

미래 예측은 불확실하지만, 그간의 경험과 지식으로 불완전함을 최소화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해 미래를 준비하였기에 오늘날 잘 살고 있다. 우리는 현재에 안주하지 말고 새로운 내일, 후세를 위한 대비를 해야 한다. 무엇을 바라고 어떤 생활로 누구 보다도 좋은 환경과 확실한 자산을 후대에 남길 것인가를 깊이 생각할 때다.

풀지 못한 현안들이 많겠지만, 기상이변에 대응할 우리에게 맞는 대책을 면밀하게 마련, 피해를 최소화해 나갈 것을 기대한다. 작은 의견이라도 소홀히 여기지 말고 주민의 뜻을 모아 좋은 방법을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경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