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맞춤랜드 캠핑장 후문 막아 인근 주민들 ‘분통’
[ 경인신문= 박우열 기자] 안성시 보개면에 위치한 1천억 원 규모의 대규모 복합문화공간 ‘안성맞춤랜드’가 시민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시민의 이동을 제한하는 공간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안성시는 캠핑 인구의 급증에 발맞춰 ‘안성맞춤랜드 캠핑장’을 개장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그러나 해당 캠핑장 부지가 기존 지역주민들이 수년간 이용해 오던 산책로 겸 생활도로 인근에 조성되면서 후문을 폐쇄하고 통행을 제한하자,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직면했다.
해당 길은 안성맞춤랜드가 조성되기 이전부터 인근 마을 주민들이 산책·등하교·일상 이동을 위해 수십 년간 사용해 오던 생활도로다. 그러나 캠핑장이 조성되면서 이 길이 ‘반려견 및 외부인 출입금지’라는 팻말을 붙이고 철창문을 달아 주민들이 맞춤랜드로 진입하는 것을 원천 봉쇄했다.
왜 막았을까? 캠핑장 관계자는 "이곳은 이용자들이 유료로 이용하는 휴식 공간"이라며, "기존 도로는 있었지만, 캠핑장 이용객들의 안전 등을 고려해 막아놓은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후문으로 주민들은 다니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본지 기자가 확인한 결과 후문으로 다니는 것이 아니라 막아놓은 후문 기둥 옆으로(이른바 개구멍)비집고 드나든 것.
인근 주민 A씨는 "안성맞춤랜드는 당시 시민들의 여가를 위해 만든 공간이라며 땅을 정리하더니, 지금은 오히려 주민을 못 다니게 입구를 막아놨다"면서, "공공시설이 어떻게 유료 운영이라는 이유로 시민들의 통행권을 막을 수 있냐"고 분개했다.
더 큰 문제는 안성시 측의 입장이다. 시는 "안성맞춤랜드 캠핑장은 유료 휴양시설이므로, 비이용객의 출입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시민들은 "기존 도로가 있던 자리에서 3~4m만 뒤로 움직였더라면 주민들과 마찰 없이 운영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안성시의 안일한 행정을 질타했다.
그러면서 "하필이면 오랫동안 사용해 오던 길을 사이에 두고 캠핑장을 만들어 주민들의 이동권을 제한 한 것은 주민을 무시하는 것이며 시민 세금으로 조성된 공간이 특정 이용자만을 위한 전유물이 될 수 없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안성맞춤랜드는 안성시가 대규모 예산을 들여 남사당 상설공연장, 야외무대, 생태하천, 체육시설, 천문대 등 복합 여가 공간으로 조성한 공공시설이다. 즉, 시민 모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특정 시설의 유료화를 이유로 시민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행정’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현재 일부 주민들은 안성시에 해당 조치의 철회와 대체 진입로 확보 등을 요구하며 민원을 제기한 상태다. 특히, 노년층 주민들 사이에서는 불편함을 넘어 '배제당했다'는 정서적 상처도 크다는 후문이다.
인근의 한 주민은 "우리 세대가 길을 만들고 땅을 내어주며 안성맞춤랜드 조성을 도왔는데, 이제와서 우리를 못 들어오게 하는 게 말이 되냐"며, "조속히 주민들과 소통하여 진입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성시가 공공성과 접근성을 동시에 고려한 해법을 내놓지 않는 한, ‘시민의 공간’인 안성맞춤랜드는 ‘시민을 소외시키는 공간’이라는 오명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인근 주민들은 6.3 선거가 끝나면 현수막 게첩과 함께 집단 항의 집회 계획을 세우고 있어 안성시의 행보에 귀추가 모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