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신문= 박우열 기자] 안성시가 지난해 1월부터 운영하고있는 홈페이지를 통한 설문조사에 대한시민들의 불편과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성시청 홈페이지에는 내년 예산에 대한 설문조사와 시민참여위원회 각분과별 정책안을 올려놓고 본인인증을 거쳐 답을 적도록 하고 있다.

단순 민원은 아무런 제약 없이 이용가능하지만 설문조사에는 이름, 생년월일, 성별, 연락처, IP 주소 등이 필수 게재 항목으로 표시되어 있다. 개인정보보유기간은 설문 완료일로 부터 1년간이다.

이는 설문조사를 실명으로 하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시민들의 불만이 높을 뿐 아니라 특히 중 장년층을 비롯한 어르신들의 접근성이 떨어져 시민들과의 소통을 위한 것인지 의문스럽다는 지적이다.

시민 A씨는 자신의 사회관계망 서비스를 통해 “안성시가 시민들과 소통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소통의 길목 창이 소통을 위해 만들어 놓은 것인지 무늬만 소통의 길목인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선의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고란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A씨는 “공고를 했는지 안 했는지 매일 시청 홈페이지를 들여다보게 하지말고 담당 부서에서 고시나 공고에 관심 있는 시민들을 상대로 신청을 받아 문자로 알려주는 서비스도 필요할 것같다”며 안성시의 안일한 운영 방식을꼬집었다.

그러면서 “공고에 깊이 관련되어 있는 사람들은 미리 알고 있기도 하겠지만 빽 없고 아는 사람 없고, 돈 없는 사람들도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는 살기 좋은 안성을 만들어 달라”고 토로했다.

한편, 설문조사에 참여한 시민 수는 최소 3명에 최고 414명을 기록하고 있다.

저작권자 © 경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