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을 이어온 죽산리 오층석탑(보물 제435호)

또한 폐사된 절터에서 명문이 있는 유물이 대량으로 출토되어 그 연혁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사료로 쓰여 지고 있다.
이곳에 있는 오층석탑은 그 높이가 6m로 여러 장의 크고 넓적한 돌로 지대석을 만들고 그 위에 단층 기단을 두고 위에 5층 탑신을 올렸다.
이 탑의 기단을 이루는 석재에는 모서리 기둥[우주(隅柱)]이 희미하게 남아 있다. 탑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이루어졌으며, 1층 탑 몸돌의 남쪽 면에는 작은 감실(龕室)을 만들어 두었다.
지붕돌은 얇으면서 각 층마다 5단의 지붕받침이 표현되어 있으며,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해 편평한 느낌을 준다. 현재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기단부가 둔중한 점, 1층 탑신이 다른 층에 비해 유난히 높은 점 등에서 고려시대 석탑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안성시내에는 많은 석탑이 있다고 전하고 있으나, 그 가운데에서도 이곳의 오층 석탑은 가장 우수한 석탑으로 볼 수 있다.
관련기사
오주원 편집국장
webmaster@asn24.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