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요불급한 사업추진은 물론, 폐지 수거로 주민생활권 침해까지
[ 경인신문= 박우열 기자] 안성시 관내 5개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경기 행복마을 관리소의 운영비가 올해 반토막 났다. 국비가 대폭 삭감됐다는 것이 주요 원인이긴 하지만 그동안 경기행복마을관리소는 무리한 사업경쟁으로 불요불급한 사업까지 진행하며 예산 낭비라는 지적이 일고 있었다.
5일, 안성시 관계자에 따르면 시는 관내에 공도읍 대림 동산과 대덕면 내리, 일죽면, 죽산면, 삼죽면 등 총 5곳의 경기행복마을관리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경기행복마을관리소에는 지킴이 10명과 사무원 1~2명이 근무하고 있다.
안성시는 이들 관리소 예산으로 지난해 약 17억(도비 30%·시비 70%)여 원을 투입했다. 이렇게 지급된 예산의 대부분은 인건비와 운영비다.
이들 관리소는 각 지역에 맞는 특화사업을 통해 다양한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으로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 마을공동체 형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부 관리소에서는 무리한 사업을 펼쳐 주민들에게 피해가 돌아가는 사례도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죽 행복마을관리소는 지킴이들이 취약 지구를 순찰하며 생활 불편 사항이나 위기가구 발굴, 홀몸노인이나 다문화 가정 도우미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한 원래의 지킴이 취지를 벗어나 쓰레기를 치우거나 폐지 등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일까지 사업영역을 넓혀가자, 폐지 수거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 일부 취약계층의 반발을 사고 있다.
어려운 이들을 보살피고 돌봐야 하는 행복마을 관리소가 오히려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는 것.더구나 일죽 행복마을관리소는 이렇게 수거한 재활용품을 팔아 모은 기금을 어려운 이웃을 위해 사용하겠노라 계획하고 엉뚱한 곳에 기부하는 등 운영의 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뿐만이 아니다. 일죽 행복마을 관리소는 특화사업으로 마을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유주방을 설치했다. 하지만 주민생활권과 거리가 멀어 1년에 3~4회 사용에 불과하며, 지난해에는 공구대여 사업도 추진 했지만, 이 역시 성적표는 초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죽 경기 행복마을 관리소는 지난해 3억 5,700만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10명의 지킴이와 2명의 사무원 인건비로 약 3억 2500~3억 3,000만 원을 지출했다. 이렇게 지킴이들의 급여가 만만치 않다 보니 지킴이 선발을 둘러싼 잡음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킴이 선발은 전문 면접위원 (외부 인사)이 지원자의 재산이나 소득 기준을 심사하고 여기서 통과한 지원자들은 면접을 통해 지킴이로 선발돼 활동하게 된다”고 설명하지만 속내를 알 수 없어 여기저기서 불평과 불만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면서 시 관계자는 “일죽 경기 행복마을 관리소의 일부 사업으로 주민들 피해가 우려된다면 해당 사업은 지양해야 할 것”이라며,“각 마을 특성에 맞는 색다른 사업발굴로 관리소가 원래의 취지대로 잘 운영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며 일부 사업의 문제점을 고민했다.
한편, 올해부터 17억 원이었던 경기 행복마을 관리소 예산이 8억 원으로 대폭 삭감되자 시는 각 행복마을 관리소 지킴이 인원을 5명으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