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사회, 가정 모두가 고민할 때...
점점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으로 국가 미래의 책임을 안고있는 청소년의 건강이 우려되고 있지만 이에대한 대책과 방안이 없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거의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른바 교복과 두발의 자유화로 상징되는 학원의 자유화 물결이 일어나면서 학생들에게 많은 자유를 주기 시작했고 청소년들의 흡연은 90년 대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사회적 문제가 되기 시작했다.
요즘은 고등학교 3학년이 되면 60%의 학생들이 담배를 피우고 있다고 한다. 아마 그 이상의 청소년들이 담배를 피우고 있을지도 모른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담배를 시작하는 연령이 차츰 더 내려간다는 것이다. 심지어 초등학교 상급학년에서부터 담배를 시작하는 학생도 있다고 한다.
청소년들의 흡연이 느는 것은 흡연을 조장하는 환경 속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다. 집에서는 아버지나 형이 담배를 피우고 있고, 학교에 가면 선생님이나 친구가 담배를 피우고, 친구를 사귀기 위한 수단으로, 혹은 호기심으로 또는 멋으로(절대 멋있지 않지만...)등등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청소년들만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된다는 말은 ‘마이동풍’일 수밖에 없다.
어린 학생들이 담배를 피우면 어른이 되어 담배를 시작하는 것보다 그 피해가 훨씬 심각하다. 16세 이하에서 담배를 시작하는 경우 20세 이상에서 담배를 시작하는 경우보다 담배로 인한 피해가 3배나 높다는 보고서도 있다.
예를 들어, 20세에서 담배를 시작하는 학생은 담배를 피우지 않는 학생에 비해 어른이 된 후 폐암발생률이 9배인데 반하여 16세 이하에서 담배를 시작한 학생은 폐암발생률이 무려 27배나 된다고 한다.
어린 학생들의 몸이 아직 완전히 성숙되지 않아 세포나 조직이 약하고 부드럽기 때문이다. 또한 담배를 일찍 시작하면 결국 담배를 피우는 기간이 더 길어지게 마련이다.
더구나 여학생들의 흡연은 불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 이 추세대로라면 앞으로 인구가 더욱 줄어들 확률이 높다는 통계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제 정부나 학교, 가정에서 청소년들의 흡연은 막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멀지않아 개인적, 국가적 손실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청소년 흡연문제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
무엇보다 먼저 어른들이 담배를 끊기 시작해야 청소년들도 담배를 끊기 시작한다는 것이 선진국의 경험이다. 청소년의 흡연문제를 다루기 전에 아버지가, 선생님이 먼저 담배를 끊어 모범을 보여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의 흡연은 학교와 집에서 함께 지도해야 효과가 있다. 어느 한쪽만 열심히 해도 소용이 없다. 교육적 훈시나 야단치는 것만 가지고는 효과가 없다. 학생들에 대한 마음속 깊은 이해가 중요하다.
여기에 담배로 인한 피해에 대한 교육은 초등학교 때 또는 그보다 더 어린 연령에서 시작하는 것이 효과가 있으므로 어릴 때부터의 예방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 건강관리협회 자료에 의하면 담배는 60여종의 발암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흡연 시 폐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매년 500만 명 이상 흡연으로 인해 사망하고 60만 명이 간접흡연으로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따라서 성인은 물론 특히, 청소년들의 흡연은 건강 뿐 아니라 간접흡연자의 건강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금연에 대한 본인의 철저한 의지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선 지역의 보건소, 보건지소의 금연 클리닉센터의 도움을 받아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우열 기자
bww1232002@yahoo.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