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이 다가왔다. 설을 민족 최대의 명절이라 부르게 된 것은 고려시대에 9대 속절(俗節)의 하나였고, 조선시대에는 한식,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로 꼽혔기 때문이다. 또한 해가 바뀌고 가장 먼저 만나는 명절이라 그 의미도 크다.
옛 부터 설날을 앞둔 정월에는 달이 길(吉)다 하여 갖가지 주술적인 행위가 벌어졌다. 정월은 농경을 준비하는 달로 공동체의 화목과 단결을 위한 여러 가지 의례와 놀이가 집중되어 있는데 그 대표적인 점술이 바로 토정비결이다. 정월에 토정비결을 보면서 한 해를 점치며 계획을 세워 나갔다.

설날 아침이 되면 새옷(설빔)을 곱게 차려입고 제일 먼저 차례를 올린다. 설날 아침에 드리는 제사를 정조차례(正朝茶禮)라고 하는데 4대 조상까지는 집에서 차례를 지내고 5대조 이상은 신주를 각기 분묘 옆에 묻어 10월 시제(時祭)때 제사를 지냈다. 명절 때마다 차례를 지내지만 정조차례는 매우 중요하다. 원래는 조상 차례와 깊은 관계가 있지만 사실은 조상제가 확립되기 이전부터 농경민에게는 곡식을 수확하는 곡령(穀靈)에게 경배하는 풍속이 있었다.
차례가 끝나면 모든 가족들은 자리를 정리하고 앉아 웃어른께 차례로 세배를 드리고, 마을을 돌며 동네 어른에게도 세배를 올렸다. 이때 세배와 함께 덕담을 주고받는데 세배라는 명칭과 함께 이 역시 ‘건강과 안녕을 비는 의미’의 주술적인 행위 중 하나다.
설날 대표적인 음식으로 떡국을 빼놓을 수 없다. 떡국 떡의 둥근 모양은 뜨는 해를 상징하고, 떡을 떠먹으면서 일 년을 뜻하는 해를 먹었다하여 ‘나이를 먹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또한 설날 아침은 한 해의 첫 아침으로 매우 성스럽고 경사스러운 날이라 해서 조신하게 보내야 한다. 그래서인지 설날의 놀이는 신명은 나되 소란스럽지 않다. 그 대표적인 놀이로 윷놀이가 있다. 윷놀이라 하면 멍석을 깔고 나무를 던지는 장작윷을 떠올리지만, 여의치 않으면 콩을 쪼개서 하는 콩윷도 즐겼다.
이 밖에도 액운을 멀리 보내기 위한 연날리기, 종이 말판 위에서 누가 가장 먼저 높은 관직에 올라 퇴관(退官)하는가를 겨루는 승경도놀이, 돈치기, 널뛰기 등이 있었다.
신묘년 새해가 다가오면서 “올해는 낫겠지”라는 말보다 “더 어려울 것 같다”는 소리가 많이 들려온다. 어려울 때일수록 강해지는 우리 민족 특유의 정신을 있지 않은가! 이보다 더 격하고 세월을 극복하며 살아온 조상들을 떠올리며, 희망찬 신묘년 아침을 맞이하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