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설명 = 화수화평구역 조합원 160여명은 최근 화수1동 일대에서 “정상적으로 재개발이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해 줄 것”을 요구하는 시위를 펼쳤다. (사진 독자제공)
*사진 설명 = 화수화평구역 조합원 160여명은 최근 화수1동 일대에서 “정상적으로 재개발이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해 줄 것”을 요구하는 시위를 펼쳤다. (사진 독자제공)

 

[ 경인신문= 이광일 기자] 인천 동구 화수화평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조합장 전기원)이 조합원 1609명의 서명을 받아, 최근 박남춘 시장에게 제출한 화수화평 재개발구역에 대한 조합원의 입장을문서를 통해“A교회에서 화수화평구역 재개발사업이공익사업으로 인지, 무조건 막아서는 것이 아닌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협상의 장으로 나올 수 있게 협조해 줄 것을 건의하고 나섰다.

이어조합원들의 작은 소원이므로, 정상적으로 재개발이 진행될 수 있도록 반드시 도와줄 것을 호소했다. 실제로 화수화평구역은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특히 노후(무허가)주택들이 집중적으로 밀집돼 있는 등 이미 슬럼화가 빠르게 진행돼 고령의 주민들이 각종 재난.재해.붕괴 등의 위험에 장기적으로 노출돼 있는 실정이어서,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다.

화수화평조합은 지난 2003년 사업유형 변경 건의를 시작으로, 재개발사업을 착실히 준비해 지난 2009년 정비구역으로 지정 받아 현재에 이르렀다.

그동안 시공사 선정 등의 어려움 때문에 10년 이상 정체돼 있다가, 어렵게 2019년부터 사업을 재개하고, 사업시행을 위한 정비계획 변경인가만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1954일 재선임된 전기원 조합장은기대했던 심의는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는, 교회를 맹목적으로 옹호하는 인사의 훼방 때문에 심의.진행조차 못하고 무산됐다고 주장했다.

조합측은 A교회는 2009년 최초 정비구역지정 및 정비계획을 수립할 때, 대형버스가 드나들 수 있는 상황까지 고려, 대체부지를 마련해 줬다고 소개했다.

B교회의 경우, 교회부지 협의를 완료하고, 이를 수용해 현재 계획돼 있는 곳으로 이전하기로 합의를 했다고 덧붙였다.

전 조합장은지난 2009611일부터 713일까지 주민공람 및 주민설명회를 통해 결정 고시됐고, 한 달이 넘는 기간에 어느 교회도 지금처럼 이의제기를 안했다면서이제 와서 교회들은 몰랐었다고 하고, 존치를 해달라만 한다고 답답한 상황을 전했다.

특히지금은 정체된 기간이 오래돼 그간의 법 변경사항들의 기준과 여건 변화에 따라, 당초 확정 고시됐던 정비계획을 시와 구의 관련부서 의견에 따라 조치하고, 일부 수정하는 것이지, 사업성 개선을 위한 새로운 사업을 추가하고,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조합원 2116명은 조합사무국에 지속적으로 건의, 교회 측과 적극적인 협상에 임할 것을 주문해 왔다. 아울러 6월 정기총회에서 협상단 구성과 관련한 별도의 안건까지 상정하도록 했다.

전 기원 조합장은 조합원들은 교회의 입장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면서 보상뿐만 아니라, 문화적 가치를 기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 지원하고자 노력해 왔으며, 앞으로도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A교회는 조합에 보낸주택재개발사업관련 교회의 입장과 요구사항’(202152) 문서를 통해, 1907년에 설립돼 114년이란 오랜 세월을 인천의 역사와 함께 한국에 몇 안 되는 기독교의 뿌리가 되는 교회라며, 화수화평주택재개발 정비계획수립 및 정비구역지정결정과 지형도면고시와 같은 교회이전은 원치 않고 있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교회의 기본적 입장은 현재 위치에 존치하는 것이고, 이런 교회 존치를 전제로 정비계획을 다시 수립해 줄 것을 요구했다.

B교회의 경우,‘존치 요구 건’(2021527) 문서에서 대한민국 민주화 관련 유산이자, 인천지역 산업유산으로 중요한 사회문화적 가치를 가진 교회(옛 인천도시산업선교회)의존치를 요청했다.

또 지금의 장소에 그대로 존치를 하기를 원하고, 인천시민사회단체연대와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인천도시공공성네트워크, 인천여성노동자회 등 지역의 많은 사회단체들이 사회 역사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 교회의 존치를 바라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 관계자는지난 526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유보된 사안에 대해 616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 7명이 현장답사를 마치고, 이달 23일 도시계획위에 재상정돼 정비계획 변경안에 대한 승인을 다룬다고 했다.

 

저작권자 © 경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