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백남준 예술상 수상작가전 《조안 조나스: 인간 너머의 세계》 개최
제8회 백남준 예술상 수상작가 조안 조나스(Joans Jonas)의 국내 최초 미술관 개인전: 퍼포먼스 비디오, 드로잉, 설치로 이어진 50여 년 작업 여정 조명
[ 경인신문= 이희찬 기자]
■ 전시개요
◦ 전 시 명: 제8회 백남준 예술상 수상작가전 《조안 조나스: 인간 너머의 세계》
8th Nam June Paik Prize Exhibition Joan Jonas: The More-than-Human World
◦ 전시기간: 2025년 11월 20일(목)~ 2026년 3월 29일(일) (총130일)
◦ 전시장소: 백남준아트센터 제2전시실
◦ 참여작가: 조안 조나스(Joan Jonas)
◦ 전시작품: 비디오, 드로잉, 설치 등 작품 41점 외 아카이브 다수
◦ 전시기획: 김윤서, 강연섭
◦ 주최주관: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
■ 전시소개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관장 박남희)는 2025년 11월 20일부터 2026년 3월 29일까지 제8회 백남준 예술상 수상작가전 《조안 조나스: 인간 너머의 세계》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국내 미술관에서 최초로 열리는 조안 조나스(Joan Jonas, 1936-, 미국)의 개인전으로, 퍼포먼스·비디오·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는 작품과 아카이브 자료를 통해 50여 년에 걸친 조나스의 예술 실험을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조안 조나스는 초기 비디오와 퍼포먼스 실험을 선도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여성성과 정체성에 대한 날카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오늘날까지 정체성을 탐구하는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고 있다. 200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는 전 지구적으로 사유를 확장하여 기후 변화와 생태적 위기 속에서 인간과 지구 타자들의 공존을 중심에 두고 계속해서 새로운 예술의 영역을 탐구하고 있다. 전시 제목인 ‘인간 너머의 세계’는 인간과 더불어 지구를 이루는 동식물·지형·기후 등 자연과의 복합적 관계망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생명에 대한 배움과 존중을 바탕으로 예술세계를 계속해서 확장해 온 조나스의 관점을 응축한다. 이번 전시는 1960년대 말 비디오와 퍼포먼스를 교차하는 매체 실험에서 출발해,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 생태적 주제에 방점을 두고 작업을 이어오고 있는 작가의 창작 서사를 주제적·형식적 전환과 확장 시점에 따라 세 개의 장으로 구성했다.
첫 번째 장 “실험-급진적인 순간들”은 1960–70년대 뉴욕의 사회적·예술적 환경 속에서 전개된 조나스의 형식 실험을 통해 퍼포먼스와 비디오아트의 선구적 면모를 조명한다. 〈바람〉(1968)은 자연·인간·기술이 상호작용하는 조나스 초기 실험의 핵심을 압축해서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오개닉 허니의 비주얼 텔레파시〉(1972) 역시 비디오의 기술 실험과 함께 가면을 쓴 작가의 분신이 등장하며 당시 여성 이미지의 규범을 해체하고자 했던 결정적 초기작이다.
두 번째 장 “여행-자연의 정령·동물 조력자”에서는 1980년대 이후 여행을 통해 발견한 세계의 문학과 신화, 그리고 동물 조력자의 모티프를 통해 인간중심 서사를 벗어나 새로운 생태적 내러티브를 구축한 과정을 보여준다. 〈시내, 강, 비행, 패턴III〉(2016/2017)은 여행 중 수집한 영상과 오브제 엮은 공간 설치작으로, ‘새’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권의 생활사 장면들과 바람, 빛과 같은 자연 현상을 포착하여 병치한다. 〈아름다운 개〉(2014)는 조나스의 ‘동물 조력자’인 반려견 시점으로 기록한 영상 작품으로, 인간과 동물의 시선을 중첩하면서 종(種)간 경계를 희석한다.
마지막 세 번째 장 “공생-되살림과 변주”는 최근작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시기의 작품들 사이의 주제적, 형식적 연결을 그려낸다. 〈빈 방〉(2025)은 조안 조나스의 조각, 영상, 드로잉, 피아노 작곡이 겹겹이 쌓인 몰입형 공간 설치 작품으로, 1960년대부터 다루어 온 시각 언어를 총체적으로 소환하면서도 비어 있는 공간을 조명하여 사라진 존재들과 그 흔적을 떠올리는 작품이다. 초기부터 구축해 온 조나스의 시각적 어휘들이 반복과 변주를 거듭하며 재맥락화되면서, 선형적 시간을 초월해 현재에도 확장 중인 예술관을 보여준다.
조안 조나스의 한국 첫 미술관 전시를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선보이는 것은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실제로 뉴욕 소호에서 이웃이기도 했던 두 거장은 20세기 비디오 아트의 자장에서 새로운 예술의 성립과 발전에 기여했음은 물론, 각자의 예술 언어로 생각을 확장하며 실험정신을 공유했다. 백남준아트센터 박남희 관장은 “이번 전시는 백남준의 예술정신과 공명하고 평화를 향해 예술과 기술, 인간과 지구 타자의 경계를 넘어 물질, 동식물, 지형, 기후에 이르는 관계망을 탐색해 온 조나스의 창작을 현재진행형으로 드러내며, 인간 너머 세계에 대한 작가의 시선을 통해 오늘날 직면한 기후 위기와 생태적 문제의식을 사유하는 중요한 장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 작가 소개
◦ 조안 조나스(Joans Jonas, 1936-, 미국)
조안 조나스(1936년 뉴욕 출생)는 현재까지 비디오, 퍼포먼스, 설치, 사운드, 텍스트, 조각 등 다양한 미디어를 아우르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는 세계적인 아티스트다. 1960년대 말부터 최근까지 조나스의 실험적 작품은 퍼포먼스와 비디오부터 개념미술과 연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대미술 장르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조나스는 전 세계의 뮤지엄, 갤러리 및 비엔날레에서 전시, 상영, 공연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선보였다. 대표적으로 카셀 도큐멘타 5(1972), 6(1977), 7(1982), 8(1987), 11(2002), 13(2012), 제28회 상파울루 비엔날레(2008), 제56회 베니스 비엔날레(2015), 제13회 상하이 비엔날레(2021), 제5회 코치-무지리스 비엔날레(2022)에 참여했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뉴욕 드로잉센터, 런던 테이트 모던, 포르투 세랄레스 미술관, 상파울루 피나코테카, 마드리드 티센-보르네미사 미술관, 디아 비콘, 뮌헨 하우스 데어 쿤스트 등에서 작품을 선보였으며, 최근 뉴욕현대미술관(MoMA, 2024)에서 회고전을 열었다. 2018년에는 인류의 과학적, 문화적, 정신적 향상에 크게 기여한 개인에게 수여하는 권위 있는 교토상을 수상했고, 2024년 백남준 예술상 수상작가로 선정되었다.
■ 백남준 예술상 소개
백남준 예술상은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예술의 힘을 실현하며 현대미술의 발전에 기여한 아티스트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탐구를 지속하며 갈등 없는 사회를 꿈꾸었던 백남준 예술의 현재적 의미를 오늘의 예술가들과 함께 사유하고 확산하는 것이 예술상의 취지이다. 2년 주기로 수상 작가를 선정하고 다음 해 수상 작가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2009년 신설하여 2021년까지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으로 운영하였으며 수상제도 개편을 거쳐 2024년부터 ‘백남준 예술상’으로 재개하였다. 경기도가 후원하고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가 주최한다.
■ 전시해설
◦ 도슨트 전시 해설
- 일시: 화~금 14시, 16시 / 토~일 11시, 13시, 14시, 16시
- 참여방법: 현장 자율참여
■ 전시 관람안내
◦ 관람요금: 무료
◦ 관람시간: 오전 10시 ~ 오후 6시 ※ 입장 마감: 관람 종료 1시간 전
◦ 휴 관 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당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