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광면 오산리 하천, 정체불명의 오염수로 ‘발칵’… 환경오염 대책 시급
[ 경인신문= 박우열 기자]23일 아침 안성시 금광면 오산리를 가로지르는 하천이 불투명한 색의 오염수로 뒤덮이며 마을 전체가 충격에 빠졌다.
평소 맑은 물이 흐르던 하천은 순식간에 오염수에 덮였고 이를 목격한 주민들은 즉시 기자들에게 제보하며 환경 오염에 대한 분노를 터뜨렸다.
23일 제보자 E씨에 따르면 오염수의 정확한 유입 경로는 조사가 진행되어야 하겠지만 상류쪽의 돈사나 우사, 소규모 제조업체에서의 무단 방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비가 내린 직후 발생한 점으로 미뤄, 우천 시를 틈탄 고의적 오폐수 방류 행위가 아니냐는 주민들의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오폐수 무단 방류 문제는 계속된 민원과 단속에도 불구하고 근절되지 않고 있는 고질적 환경범죄다. 특히 축산농가나 일부 중소형 제조업체에서는 처리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비가 오는 날을 틈타 하천이나 배수로에 오염물을 흘려보내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러한 행위는 단순한 수질 오염을 넘어, 하천 생태계의 파괴, 농업용수의 오염, 인근 주민 건강 위협 등 심각한 2차 피해를 유발한다.
마을 주민 E씨는 “멀쩡하던 하천이 갑자기 거품과 함께 회색빛으로 변해서 놀랬다"면서 “가끔씩 반복되는 오염에 시달리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고 호소했다.
또 다른 주민은 “하얀 거품을 동반한 오염수 속에서 물고기들이 튀어 오르는 장면을 보고 가슴이 아팠다. 이제는 비만 오면 누가 폐수를 흘려보낼지 몰라 긴장해야 하는 수준”이라며 지속적인 방치에 대한 실망감을 나타냈다.
따라서 주요 하천과 지류에 실시간 수질 감지 센서를 설치해, 수질 변화가 감지되면 즉시 경고하고 오염원을 추적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말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시는 우천 시 하천 주변의 드론 순찰 및 상시 CCTV 감시를 통해 불법 방류 행위를 적발할 수 있는 감시망을 촘촘하게 구축해야 하며 아울러 주민들의 적극적인 제보를 유도하기 위해 환경범죄 신고 포상금 제도를 확대하고, 익명성이 보장된 제보 창구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반복적인 위반 업체는 영업정지 및 형사처벌까지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을 강화하고, 실제 집행력을 높여야 하며, 축산 및 제조업체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환경법 교육과 윤리 교육을 실시해 자발적인 오염 방지 노력을 유도해야 한다.
하천은 단순한 물길이 아니라 지역 생태계의 핵심 자산이자, 시민들의 생존 기반이다. 일부의 이기적 행위로 인해 전체 공동체가 피해를 보는 악순환은 이제 멈춰야 한다. 지속 가능한 환경 보호는 단속기관뿐 아니라 시민, 기업 모두의 책임이다.
안성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하천오염 예방을 위한 근본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마련해야 하며, 반복되는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지속 가능한 감시와 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