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격 30주년을 맞은 인천경찰청
- 인천의 성장과 함께 한 인천경찰의 눈부신 발전과 미래 -
[ 경인신문= 이광일 기자] 인천경찰청(청장 송민헌)은 오는 8. 1. 자로 승격 30주년을 맞이한다.
인천경찰청은 1987년 경기도 경찰국으로부터 분리되어 인천시 경찰국으로 출범하였고, 1991년 경찰법 제정에 따라 1991. 8. 1. 자로 인천시로부터 독립하여 인천지방경찰청으로 승격하였다.
지난 30년간 인천경찰청은 인천의 성장과 함께 조직·인력 등 치안 인프라 부분에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1991년 당시 3,107명에 불과하던 경찰관 정원은 2021년 6,672명으로 대폭 증가하였는데, 인력이 늘어난 만큼 경찰관 1인당 담당 인구도 632명(전국 515명)에서 440명(전국 404명)으로 대폭 감소하였다.
1991년 당시 11개 과로 구성된 인천경찰청 조직은 외사과(06년), 여성청소년과(13년), 112치안종합상황실(14년), 사이버수사과(19년), 과학수사과(20년), 수사심사담당관(21년), 광역수사대(21년)가 신설되면서 18개 과로 확대되었다.
소속 경찰서 또한 5개 경찰서였던 것이 계양서(94년), 강화서(95년, 경기청으로부터 편입), 연수서(97년), 삼산서(07년), 논현서(17년)가 추가되면서 현재는 10개 경찰서로 운영되고 있다. 향후 신설이 예정된 검단서(23년), 영종서(25년)를 포함하면 총 12개로 늘어나게 된다.
소속 지구대·파출소는 1991년 당시 95개 파출소였는데, 2021년 현재 40개 지구대와 36개 파출소, 36개 치안센터로 운영되고 있다.
인천경찰청장의 직급 또한 지속적으로 격상되었다. 1991년 개청 당시 경무관이었던 청장의 직급은 1995년에 치안감으로, 2014년에는 치안정감으로 격상되었는데, 이는 서울·경기남부·부산에 이어 4번째 치안정감 시·도경찰청이 된 것이다. 차장 직제도 1995년에 처음 신설되었는데, 2013년에는 차장이 2부장으로, 2014년에는 다시 3부장으로 늘어났으며, 올해 공공안전부장·수사부장·자치경찰부장으로 개편되어 현재와 같은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인천경찰청의 예산은 1991년 약 438억이었는데, 2020년 약 5,104억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경찰의 가장 대표적인 장비인 순찰차 또한 1991년 131대였던 것이 2020년 238대로 대폭 늘어났다.
인천경찰청의 치안 지표도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졌다.
인천의 행정구역은 1991년 당시 6개 구였던 것이 2021년 현재 8개 구‧2개 군으로 늘어났으며, 인구 또한 196만 명에서 294만 명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그에 따라 1991년 당시 27,212건에 불과했던 112신고건수는 2020년 1,197,564건으로 약 44배가 증가하였다.
총 범죄 발생 건수는 55,916건에서 88,143건으로 약 1.5배가 증가하였는데, 그중에서도 5대범죄(살인·강도·강간·절도·폭력)는 11,464건에서 28,238건으로 2.5배가 증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5대범죄 검거율은 1991년 75%에서 2020년 83%로 상승하였다.
자동차등록대수는 1991년 195,395대에서 2020년 1,676,442대로 약 8.6배가 증가하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12,030건에서 8,885건으로 약 26%가 감소하였고,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또한 342명에서 109명으로 약 68%가 감소하였다.
인천경찰청은 치안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해왔고, 현재까지 그 어느 지역보다 안정적인 치안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2001년에는 이용객 수 7,000만명(19년 기준)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공항 내 범죄예방 및 수사, 대테러 등을 위해 인천국제공항경찰단과 경찰대를 창설하였다.
그 밖에도 새로운 치안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수사대(02년), 지하철경찰대(05년), 117신고센터(12년), 생활범죄수사팀(15년), 관광경찰대(15년), 피해자보호계(20년) 등 전담 인력을 운영하고 있다.
2021년은 수사권 개혁과 자치경찰제 시행으로 75년 국가경찰 시스템이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대전환기로, 경찰에게는 1945년 창설, 1991년 경찰청 독립 이후 가장 중대하고 뜻깊은 역사적 분기점이라 할 수 있다.
대외적으로 보면 코로나19 등 연이은 재난·위기로 안전에 대한 국민적 요구가 어느 때보다도 높아진 상황에서 사이버범죄 등 새로운 유형의 범죄와 여성·아동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범죄에 대해 경찰의 빈틈없는 현장 대응력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인천경찰에게는 자치경찰제 등 새로운 경찰 시스템을 무사히 정착시키는 한편, 변화하는 치안 환경에 맞춰 시민 안전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져 있다.
송민헌 인천경찰청장은 “그동안 인천경찰에게는 한 세대 동안 많은 도전의 역사가 있었지만 인천경찰과 인천시민 모두가 일심동체로 협력하여 극복할 수 있었다”라며, “앞으로도 시민 안전을 더욱 든든하게 지키고, 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따뜻한 인천경찰로 거듭나, 한 세대 후에는 국제적 항구도시 인천, 그리고 세계 최고의 인천경찰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다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다짐하였다.
|
연 도 |
세 부 내 용 |
|
1991년 4월 |
교통관제센터 개관 ▶각종 교통정보를 분석하고, 원활한 소통과 교통안전 확보 |
|
1996년 5월 |
인천항공대 창설 ▶김포공항 내에 창설하였다가 2001년 영종헬기장으로 이전 |
|
2001년 2월 |
여성청소년계 신설(방범과) ▶성폭력, 가정폭력, 청소년범죄, 실종, 가출인 등 업무 담당 |
|
2001년 3월 |
인천국제공항경찰대, 특공대 신설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맞추어 대테러 등 치안 역량을 강화 |
|
2002년 7월 |
사이버수사대 신설(수사과) ▶온라인 범죄가 급증하면서 범인 검거, 예방을 위해 신설 |
|
2003년 12월 |
지역경찰제도 개편 ▶파출소 → 지구대‧파출소‧치안센터 |
|
2005년 7월 |
지하철경찰대 신설(생활안전과) ▶각종 지하철 범죄 예방, 수사 및 테러 대응역량 제고 |
|
2006년 1월 |
범죄분석요원(프로파일러) 운영 ▶중요 강력범죄 범인 검거 지원, 심리 및 동기 분석 자료 축적 |
|
2006년 11월 |
외사과 신설 ▶관내 외국인 증가 등 외사 수요에 적극 대처 |
|
2010년 7월 |
산업기술유출수사 전담팀 운영 ▶첨단산업 기술 보호 및 국가경쟁력 확보 |
|
2010년 8월 |
지방청 교통조사계 신설(경비교통과) ▶교통사고 전문성 제고 및 이의를 제기한 사고 등 조사 |
|
2011년 2월 |
지방청 경비교통과 대테러계, 전경관리계 신설(경비교통과) ▶연평도 포격 등 북한의 위협과 새로운 테러유형 대비 등 |
|
2011년 5월 |
미제사건 전담수사팀 운영 ▶사회적 공분을 야기하는 중요 강력범죄 등에 대해 지속적인 수사체제 구축 |
|
2011년 6월 |
인권상담 지원관 제도 도입 ▶억울함을 주장하는 민원인, 구속 피의자 등 전반적 인권침해 감시 |
|
2012년 6월 |
인천 117신고센터 개소 ▶학교, 성, 가정폭력, 아동학대, 성매매 등 신고 접수 및 상담 |
|
2014년 3월 |
가정폭력전담경찰관 운영 ▶가정폭력 재발 방지 및 피해자 보호, 지원 |
|
2014년 5월 |
인천광역시 범죄피해자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보호 지원의 실효성 확보 및 지자체 참여 활성화를 위해 조례 제정 |
|
2015년 1월 |
피해자보호팀 신설(감찰계) ▶피해자 보호 원년의 해를 맞아 체계적인 피해자 보호를 위해 신설 |
|
2015년 2월 |
피해자 전담 경찰관 운영 ▶상담 지원, 신변보호 등 업무를 위해 10개 경찰서에 배치 |
|
2015년 7월 |
지방청 교통순찰대, 감사윤리계 신설 ▶교통사고나 돌발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순찰대 신설 |
|
2015년 11월 |
기마경찰대 창설(홍보) ▶국제, 관광도시 인천에 걸맞는 경찰활동 전개 |
|
2015년 11월 |
경찰서 생활범죄수사팀 신설 ▶자전거 절도 등 경미범죄 전담수사 |
|
2015년 12월 |
관광경찰대 신설(외사과) ▶외국인 관광객 대상 불법행위 단속 및 불편 해소 |
|
2016년 2월 |
아동학대 전담 경찰관 운영 ▶기존 가정폭력 전담, 아동학대 전담 경찰관을 확대하여 운영 |
|
2018년 10월 |
디지털포렌식계 신설(수사과) ▶디지털 증거분석으로 수사의 객관성, 공정성 제고 |
|
2019년 4월 |
지방청 사이버안전과 신설 ▶사이버 범죄의 증가와 중요성을 감안하여 과 단위 부서 신설 |
|
2020년 1월 |
인천공항 대테러기동대 신설 ▶공항 내 테러 발생시 초동 대응 및 예방활동 강화를 위해 신설 |
|
2020년 4월 |
지방청 피해자보호계 신설(청문) ▶수사종결권 부여로 인권보호 강화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전담 조직 신설 |
|
2021년 1월 |
수사심사담당관 신설, 광역수사대 확대 ▶수사권 조정에 따라 수사 역량 제고 방안으로 추진 |
|
2021년 4월 |
자치경찰 사무국 파견 발령 ▶자치경찰제 시범 실시에 앞서서 경찰관 파견 |
|
2021년 4월 |
수사감찰제도 신설 ▶수사 부서와 독립된 위치에서 심사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 구성 |
|
2021년 7월 |
5기동대 창설 ▶의경 폐지에 따라 경찰관 기동대로 각종 치안 수요에 대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