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신문 강숙희 기자

▲경인신문 강숙희 기자   ⓒnews24

 [뉴스24 = 강숙희 기자] 3·1운동이 일어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지 올해로 딱 100년이 됐다. 3·1운동은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이끌어냄과 동시에 지금의 민주주의 사회를 구현하는 뿌리가 되기도 했다.

1919년 독립운동이 한창이던 때, 중국 상하이에서 활동하던 독립 운동가들은 같은 해 4월 11일 우리 역사상 최초로 민주 공화제를 선포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황제가 주인이었던 대한제국에서 국민이 주인이 되는 대한민국으로의 전환점을 맞게 되었으며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게 됐다.

정부는 지난달 26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유관순 열사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가로 서훈하기로 의결한 후 3·1절 기념일을 맞아 유관순 열사에게 독립유공자에게 주어지는 훈장 중 최고 등급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1등급)을 수여했다.

만시지탄이긴 하지만 유관순 열사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가 서훈하기로 한 정부의 결정을 크게 환영한다. 특히 3·1운동 100주년의 해에 걸맞은 국민주도형 결정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더욱 뜻깊다할 수 있다.

정부는 지난 1962년 유관순 열사에게 건국훈장 5등급 중 3등급에 해당하는 독립장을 수여했다. 하지만 그 동안 유관순 열사의 공적에 걸맞지 않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상훈법상 '동일한 공적에 대하여는 훈장 또는 포장을 거듭 주지 않는다'는 규정에 발목 잡혀 추가 서훈이 이뤄지지 못했다.

그동안 최고 훈장인 '대한민국장'을 수여해야 한다는 국민청원과 국회 특별법 제정 등 다각적인 노력들로 이어졌다. 무엇보다 3·1운동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름이 '유관순'이라는 점에서 1등급 훈장 추서는 당연하다.

문 대통령도 이날 백범기념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유관순 열사는 3.1독립운동의 상징'이라고 의미를 전했다. 유관순 열사는 일제강점기였던 1919년에 일어난 3.1독립만세운동의 상징적인 인물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16세의 가녀린 여학생으로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일제의 압박에 저항했던 열사를 생각하면 누구라도 추모의 뜻을 품지 않을 수 없다. 해방 이후 친일 인사들이 독립지사 유관순을 정치적 종교적 방패막이로 적극 활용함으로써 자신들의 부끄러운 친일 흔적을 감추려 했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역사는 이제 유관순 열사가 짧은 생애에 온몸으로 이끌었던 3.1독립만세운동의 대의와, 온몸으로 일제의 폭거를 감당해 내야 했던 비장한 최후를 되새겨 후대에 전해야 한다.

안성 3.1운동기념관에서는 독립선언서와 독립신문, 만세운동 현장,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약상이 담긴 문서와 생생한 사진 등을 전시한다. 지금의 우리를 있게 해준 100년의 역사를 잊어서는 안 된다. 1년에 하루나 며칠이 아닌 연중 진행되는 전시를 통해 살아있는 우리의 역사를 가슴에 새겨야 한다.

저작권자 © 경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