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진 국론 통합이 우선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17일 취임 100일을 맞았다.

취임 후 내내 70%대의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어 역대 대통령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지지율을 얻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북 핵으로 인한 한반도 안보 리스크가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해서 걱정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월 9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41.08%란 비교적 낮은 득표율로 당선됐다. 하지만 현재 대구경북 지역과 60대 이상 연령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과 계층에서 고른 지지를 받고 있다.

지난 5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집계한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 첫 설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직무수행을 잘할 것 같다”는 긍정적 응답은 74.8%였다.

이는 지난 3월 8일 실시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찬반 조사’에서 찬성 여론 77%과 거의 비슷한 수치다. 탄핵 정국에서 나타난 국민 여론이 19대 대통령 선거에 이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전망에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은 탈 권위 소통 행보와 맞물려 나날이 치솟았다.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은 취임 2주차 81.6%, 3주차 84.1%까지 올랐다.

이후 5월 중순부터 이낙연 국무총리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시작되면서 국정수행 지지율은 70%대 후반으로 떨어졌다.

고위 공직자 5대 원칙파기 논란, 안경환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강제 혼인신고’ 논란으로 인한 자진 사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진통 끝 임명 강행 등으로 국정수행 지지율은 70% 중반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전임 대통령들도 정권 초, 인사 난항을 겪어왔고,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 하락세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선방했다는 평가가 많다.

또 문 대통령이 탄핵 정국으로 멈춰진 정상외교를 재개하면서 외교성과가 있을 때마다 지지율은 조금씩 상승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한미정상회담을 필두로 지난달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 등을 순조롭게 마치며 정상외교에 데뷔했다. 반대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으로 한반도 긴장 수위가 높아질 때마다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하락세를 보였다.

최근 북한이 ‘서울 불바다’와 ‘괌 포위사격’등의 위협 발언을 하면서 지지율은 2주 연속 소폭 떨어져 70% 초반까지 내려왔다. 아울러 개혁 과제를 추진하고 새로운 정책을 발표할 때마다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해왔다.

취임 100일간 문 대통령이 내놓은 정책은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탈(脫) 원자력발전소, 4대강 감사, 건강보험 강화, 최저임금 인상, 방위산업비리 감사, 부동산종합대책 등 사회 전 영역을 망라한다. 검찰 개혁과 국가정보원 개혁 등 개혁 이슈도 줄줄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일 이른바 ‘8·2 부동산 종합 대책’이 발표됐을 때 전날보다 0.8p 오른 71.7%로 시작해 72.8%까지 이틀 연속 올랐다. ‘이명박 정부 국정원의 민간인 댓글조직 운영’ 보도가 확산되던 지난 4일에는 75.7%로 뛰었다. 반대로 지난달 17일 최저임금 인상안이 발표될 때는 일일 국정수행 지지율이 74%에서 이튿날 73%까지 1%p 떨어졌다. 최저임금 인상안에 부담을 느끼는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지지율이 이탈한 것이다.

문 대통령이 비교적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는 배경에는 전 정부에서 벌어진 국정농단 사태와 탄핵 정국으로 인한 반사효과도 지지율의 한 요인이지만 탈 권위 행보, 경제회복 등을 바라는 국민들의 여망과 시대정신이 문 대통령에게 투영되는 비중이 커 보인다.

역대 어느 정권도 임기가 지나갈수록 지지율은 내려가게 마련이다. 임기 초 문 대통령의 지지율 고공행진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소통과 통합으로 개혁을 추진하며 조정력을 잃지 않는 국정운영으로 갈라진 국론을 통합하는 치유의 과정이 우선이라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경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