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보은의 젖소 사육농장에서 접수된 구제역 의심신고가 지난 5일 확진 판명이 났다. 한동안 AI로 전국의 가금류 농가에 사상 최악의 피해를 발생시키더니 이제는 구제역 까지 발생해 농가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이번 구제역은 지난 해 3월 충남 홍성군에서 발생한 후 11개월여 만에 발생했다. 지난해 11월 16일 전남 해남과 충북 음성에서 최초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 신고가 접수된 지 두 달여 만에 닭과 오리 3,203만여 마리가 살 처분 되는 등 AI피해가 극에 달하고 있다.

문제는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더욱 정밀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점이다. 농·식품부는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라 발생농장에 초동방역 팀, 역학조사팀, 중앙기동방역기구를 투입했고 발생농장 및 반경 3km 이내 우제류 농장에 대해 이동제한 조치를 취했다.
 
특히 구제역은 기온이 낮은 겨울에 바이러스의 활동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다른 지역에서도 더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다만 방역 당국은 작년 10월부터 소·돼지 등에 백신을 접종해 소 97.5%, 돼지는 75.7%의 항체 형성률을 확보했다며, 전국적으로 번질 확률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AI와 마찬가지로 어디로 얼마나 확산될지 럭비공과 같은 모양새여서 농가들의 불안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구제역은 언제나 예상하는 피해 범위를 훨씬 넘어서 창궐했기 때문이다. 구제역의 경우 백신을 전량 수입하는데, 이 백신은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과는 유전적으로 20% 이상 차이 나는 걸 계속 수입해 사용해왔기 때문에 당장 정부의 예방과 대응책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적잖다.

이를 반영하듯 전북 정읍에서도 의심신고가 들어왔다. 전염성이 매우 강한 구제역의 특성상 확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이 경우 축산농가에 심각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지난 2010년 구제역 파동 때는 무려 350만 마리의 소·돼지가 살처분 돼 3조원이 넘는 엄청난 피해를 가져왔다.

구제역을 초기에 막지 못하면 소와 돼지고기 값의 상승도 우려된다. 그렇지 않아도 농산물 작황 부진으로 배추·무·당근 등의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마당에 AI에 따른 계란 값 폭등, 소·돼지 등 육류가격까지 뛰면 서민들의 고통은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다.

백신을 사용하더라도 바이러스에 감염 될 수 있고, 또 바이러스 변종이 생기면 임상 증상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백신 효용이 떨어진 탓에 구제역이 추가 발생하고, 다량 살 처분이 이뤄지면 결국 그 피해는 국민과 농민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

AI와 마찬가지로 구제역 최선의 대응은 차단 방역과 예찰 강화, 예방접종뿐이다. 구제역 백신을 적기에 공급하고 소규모 농가, 각종 축사시설, 운반 차량까지 포함해 소독을 강화해야 한다. 양축 농가에서도 소독 등 차단방역에 무조건 협조해야 하며, 방역당국과 지자체는 구제역 확산 방지에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