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화된 교육 정책 결실 나타나

ⓒ뉴스24
2016년 서울 지역 내 대학에 진학한 안성시의 관내 학생 수는 313명으로 지난해 대비 17% 상승하며, 그동안의 안성시의 차별화된 교육정책이 결실을 거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안성시는 2010년 약 37억 8천 2백만 원이었던 교육 관련 예산을 2016년에는 약 128억 1천 5백 만 원까지 끌어올리며 교육 정책에 힘을 실었다.

시는 민선 5기 출범과 함께 ‘안성시민장학회’를 설립했고 조례를 개정해 일반 회계의 5%를 교육 예산으로 편성할 수 있는 지원 근거를 마련했다. 정치와 상관없이 백년지대계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장치였다.

안성시민장학회는 2011년, 시에서 60억 원을 출자했고 이후 자발적인 시민들의 모금을 통해 운영 중이다. 2015년까지 총 1,376명의 안성 학생들이 12억 5천 630만원의 장학금을 수령했다.

안성시민장학회는 안성시와 안성시민의 교육에 대한 열정이 함께 만들어낸 작품으로, 지난 한 해 기준으로 정기회원 139명이 매월 총 253만 5천원을 후원금을 보내고 있으며, 비 정기회원들의 한 해 동안의 기부액은 3억 7천 8백만 원에 이른다.

후원 층도 기업대표에서 축산단체, 주지스님, 공무원, 장애인, 회사원, 주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어느 독거노인은 유일한 유산으로 남을 전세 계약서를 장학금으로 내놓기도 했다.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도에서 출발한 안성시의 해외 자매결연도시 홈스테이 사업은 2012년 첫 회부터 반응이 뜨거웠다. 2016년까지 모두 4회에 걸쳐 총 80명의 학생들이 미국 서부의 브레아시를 다녀왔다.

ⓒ뉴스24
동국대 영어영문학과에 재학 중인 임채현 학생(20, 동국대 영어영문학과)은 2012년 중학생 시절, 브레아시로 간 제1기 홈스테이 연수생으로, “난생 처음 미국에서 보낸 3주간의 특별한 경험은 영어뿐 아니라, 영어권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전했다.

아직 그 수는 미미하지만 안성시의 홈스테이 운영은 학생과 학부모들로 하여금 더 나은 교육을 위해 ‘脫안성’ 하지 않아도 된다는 상징적인 메시지를 주는데 성공했다. 시는 미국 브레아시에서 중국 허위엔시로 홈스테이를 확장할 것을 조심스럽게 검토 중에 있다.

안성시는 이밖에도 지역 내 대학과 연계해 대학의 원어민 교수 등의 인력풀을 활용할 수 있는 수준별 영어캠프를 2011년부터 방학마다 열었고, 초등학교 14곳에 원어민 보조 교사의 인건비를 지원했다. 여기에 실용 영어 중심 상시체험학습 공간을 운영하기 위해 양진초(공도읍)와 개산초(금광면)를 거점 학교로 활용해 왔다.

ⓒ뉴스24
면에 있는 초등학교를 거점학교로 삼아 원어민 강사의 수준 높은 교육이 제공되자 도시의 아이들이 오히려 시골학교로 수업을 들으러 가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만족도가 높아 거점 영어체험교실은 현재 규모보다 더 확장시킬 것을 검토 중이다.

방과 후 학교 및 특기 적성 활동에 대한 시의 꾸준한 지원으로 학부모들의 사교육비 부담 절감과 함께 교육 격차를 일부 해소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기에 안성시의 특색 교육 정책 가운데 하나인 ‘안성맞춤 우수교육 공모 사업’은 교육 현장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교육 컨텐츠를 공모를 거쳐 지원해주는 형식으로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력 신장 및 인성 교육, 특기 적성 교육에 도움을 주고 있다.

각 학교에 다양하게 혜택이 돌아가게 하기 위해 소규모특성화사업에 지정된 21개교와 인성프로그램을 지원받는 4개교 등을 제외하고 23개교에 ‘안성맞춤 우수 교육 공모 사업’을 통해 5억 7천 5백 만 원의 사업비를 지원했다. 선정된 학교당 2천 5백 만 원 수준이다. 내용도 부모와 함께 하는 힐링 캠프부터 예술, 스포츠, 제과제빵, 영어, 문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뉴스24
안성시에서는 올해부터 새롭게 인문계 고3학생인 교육급여수급대상자의 자녀들에게 저녁 급식비를 지원한다. 또 산학일체형 도제식 직업교육의 강점을 접목한 새로운 직업 교육 모델을 만들어 대학을 가지 않고도 직업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황은성 안성시장은 “밥 먹을 권리와 교육 받을 권리,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다. 안성은 교육의 권리를 학생들에게 찾아주고 나아가 사교육비의 큰 부담으로 정작 노후를 준비하지 못하는 우리 교육의 현실도 지자체의 역량 안에서 바꾸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